목록전력 (4)
gyeomii

주택용 전기요금 주택용 누진요금제 ⚡ 전기요금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조정요금 각 항목 별로 원미만 금액은 절사한다. 기본요금 = 누진단계별 기본요금 전력량요금 = 누진 단계별 사용요금 * 전력 사용량 기후환경요금 = 사용전력량 * 기후환경요금단가 기후환경요금단가 : 9원/kWh (23년 1월 기준, 매년 변동) 연료비조정요금 = 사용전력량 * 연료비조정단가 연료비조정단가 : 5원/kWh (23년 1월 기준, 매분기 변동) 💰 청구요금(10원미만 절사) = 전기요금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부가가치세 = 전기요금 * 10% (원미만 반올림) 전력산업기반기금 = 전기요금 * 3.7% (10원 미만 절사) 계산 예시 주택용 누진 요금제는 기타계절기간과 하계기간(7,8월)..

전기요금표 최신 보러가기 전기요금 구조 ⚡ 전기요금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조정요금 + 역률요금 + 200kWh이하감액 + 취약계층감액 + 복지할인금액 + 사용량0감액 각 항목 별로 원미만 금액은 절사한다. 기본요금 = 요금적용 전력 * 기본요금 기본요금 : 종별요금표에 나와있는 종별 기본요금 전력량요금= 경부하요금 + 중간부하요금 + 최대부하요금 기후환경요금 = 사용전력량 * 기후환경요금단가 기후환경요금단가 : 9원/kWh (23년 1월 기준, 매년 변동) 연료비조정요금 = 사용전력량 * 연료비조정단가 연료비조정단가 : 5원/kWh (23년 1월 기준, 매분기 변동) 역률요금 = {기본요금 * (90 - 지상역률) * 0.2%} + {기본요금 * (95 - 진상역률) * 0..
목적 : 입맛대로 적어두고 필요할 때 찾아보자 계통 유연성 이란? 계통 유연성이란 전력 수급의 변동성, 불확실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계통의 능력을 말한다 전력의 발전량과 수요가 같은 값을 갖는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발전량이 수요에 비해 많아지거나 수요가 발전량에 비해 많아지만 계통에 문제가 생긴다. 전력이 과잉생산되면 전력망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심한경우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이 발생한다. 전력이 부족하면 이또한 블랙아웃이 발생한다. 때문에 전력계통 유연성을 높여 과잉생산된 전력을 처리하고 전력이 부족할 때 부족분을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재생에너지는 환경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크다 이에 계통변동성을 높여 계통안정성 확보를 위해 더 많은 계통 유연성을 확..

기상 데이터 활용 전력 발전량 예측 **목차(context)** 문제상황 및 데이터 살펴보기 문제해결 프로세스 정의 🥉Session 1 - 「전력 발전량 Peak 시간대 탐색」 🥈Session 2 - 「전력 발전량과 기상 데이터 상관관계 분석」 🥇Session 3 - 「ML 활용 전력 발전량 예측」 문제상황 및 데이터 살펴보기 `시나리오 ⚡ (제품 설계자, 오퍼레이터, 필드 데이터 분석가)` A사는 내년도 전력사용계획을 예측하여 차년도 전력 예산안을 작성하려고 한다. 전력 발전량은 기상 날씨에 따라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전력 예산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7년 1년치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력발전량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고 일기예보에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력발전량을 예측 및 전력사용계획을 세우고..